버전
menu
![]() | 참고 |
|---|---|
For context, reference the first example. |
아래에서 설명하는 이미터 방향의 효과는 3D Spatialization이 Position + Orientation으로 설정되었을 때에만 적용됩니다. 아래에서는 Position + Orientation과 Position 3D Spatialization의 사용을 대비하여 설명합니다.
다음 에시는 이전의 예시와 비슷하지만, 이번에는 리스너가 동쪽을 바라보고 있습니다. 이 예시는 두 가지 다른 방향의 작동 방식을 동시에 보여줍니다.
이미터의 상대적 위치: 이미터가 리스너의 좌측에 위치해 있습니다. 즉, Spread로 인한 수축이 왼쪽을 향해 일어납니다. 이 현상은 Spread가 0인 첫 번째 그림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.
이미터의 상대적 방향: 리스너에 대한 이미터의 상대적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90 도를 이동합니다. 즉, 가상 음원이 그에 따라 회전합니다. 이 현상은 Spread가 100인 네 번째 그림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. 입력 채널을 표시하는 색깔이 회전되었습니다. 물론 소스가 모노일 경우에는 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.
|
다양한 Spread 값을 가졌을 때 이미터의 상대적 방향의 영향 | ||||
|---|---|---|---|---|
|
Spread |
이미터의 상대적 위치와 방향 |
가상 음원의 배치와 | ||
|
0% Spread |
|
| ||
|
30% Spread |
|
| ||
|
70% Spread |
|
| ||
|
100% Spread |
|
| ||
이미터의 상대적 위치와 이미터의 상대적 방향 간의 차이점을 확실히 이해하도록 상대적 위치가 45 도이고 상대적 방향이 90 도이며 Spread가 70%일 때의 결과를 제공하였습니다. 이 결과는 리스너가 동쪽을 바라본 채 남서쪽에서부터 이미터의 음장(音場, sound field)을 관통하는 것과 같습니다. 초록색과 빨간색 이미터 채널은 리스너의 전면 좌측과 전면 우측 즈음에 배치되어 있고 파란색 채널은 이를 둘러싸기 시작합니다.
|
상대적 방향이 90 도이고 Spread가 70%일 때 | ||||
|---|---|---|---|---|
|
Spread |
이미터의 상대적 위치와 방향 |
가상 음원의 배치와 | ||
|
70% Spread |
|
| ||
위의 예시에서 이미터의 방향은 다채널 음원에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방향 기반 회전은 음향 구성 요소를 다채널 자료에 패닝하고 렌더링한 '음장'과 '환경 소리'를 표현한 다채널 음원을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. 런타임 때 Wwise는 이 자료를 리스너와 이미터의 방향에 따라 이 환경 소리를 3D 세계의 지오메트리에 효과적으로 연결합니다.
하지만 때로는 다채널 파일이 음장을 표현하는 대신 단순히 공간적 범위를 느끼게 하도록 제작된 사운드일 수 있습니다. 이 경우 대부분 스테레오 사운드를 가집니다. 이러한 경우에서 공간적 범위의 효과는 원래의 채널 구분을 사용할 때 가장 적합하며, 이를 회전시킬 경우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됩니다. 이러한 유형의 콘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3D Spatialization를 Position으로 설정하여 이미터의 방향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.
다음 3D 위치 지정 예시인 “Focus”(으)로 이동하세요.
프로젝트를 등록하세요. 아무런 조건이나 의무 사항 없이 빠른 시작을 도와드리겠습니다.
Wwise를 시작해 보세요